카테고리

Eppendorf SE

Eppendorf SE

  • DIN EN ISO 9001
  • ISO 17025
  • ISO 13485
  • ISO 14001

Eppendorf SE

  • DIN EN ISO 9001
  • ISO 17025
  • ISO 13485

09.07.2025 09:07

2025년 젊은 유럽 연구자를 위한 에펜도르프 어워드

2025년 젊은 유럽 연구자를 위한 에펜도르프 상, 독일 바룬 벤카타라마니에게 돌아갑니다

함부르크에 본사를 둔 생명과학 기업 에펜도르프 SE는 올해로 30번째로 권위 있는 연구상을 수여합니다. 영국 캠브리지의 로라 마체스키 교수가 위원장을 맡은 독립 심사위원단은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병원의 바룬 벤카타라마니 박사를 2025년 에펜도르프 젊은 유럽 연구자상 수상자로 선정했습니다.

바룬 벤카타라마니는 시냅스 신경세포-종양 네트워크가 어떻 뇌종양 진행을 촉진하는지에 대한 연구로 2만 유로의 상금을 받게 됩니다. 심사위원단은 신경 종양학이라는 새로운 분야의 중요성과 신경세포와 종양의 상호작용 방식을 밝히는 데 있어 벤카타라마니 박사의 역할, 그리고 이 연구의 중개적 잠재력을 인정했습니다.

바룬 벤카타라마니: "2025년 젊은 유럽 연구자를 위한 에펜도르프 상을 수상하 되어 매우 영광스럽고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이 상은 저희 연구팀 전체의 헌신과 혁신 정신이 반영된 것으로, 지칠 줄 모르는 노력으로 이번 발견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이 여정 내내 변함없는 지원을 아끼지 않은 멘토, 협력자, 가족에게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이 상은 뇌종양에서 뉴런과 암세포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암세포가 어떻게 뉴런과 시냅스를 형성하고 종양 성장과 침입을 위해 뉴런 메커니즘을 이용하는지를 밝혀낸 중요한 공로를 인정하는 상입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암 신경과학을 신경과학과 종양학의 교차점에서 새로운 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현재 치료 옵션이 제한적인 뇌종양 환자를 위한 신경과학 기반 치료 전략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에펜도르프 어워드 2025의 수상자 외에도 두 명의 최 후보가 수상의 영예를 안았습니다.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교 생명공학 연구 및 혁신 센터의 그룹 리더인 페나 옥스(Fena Ochs)는 코헤신이 자매 염색질 응집력을 매개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의 영예를 안았습니다. 심사위원단은 오크스 박사의 혁신적이고 기계적인 연구를 통해 인간 코헤신이 어떻게 단량체로서 자매 염색질을 서로 결합시키는지를 규명하고 3D 염색질에 대한 단일 분자 연구를 수행한 것에 깊은 인상을 받았습니다. 심사위원단은 그녀의 연구가 노화 관련 불임과 염색질 조직에 대한 이해와의 관련성을 인정했습니다.

영국 케임브리지 MRC 분자생물학 연구소의 그룹 리더인 줄리엣 페드리는 혁신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세포 스트레스가 단백질 번역을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밝혀낸 공로를 인정받았습니다. 심사위원단은 건강한 조직과 병든 조직에서 단백질이 어떻게 번역되는지를 전례 없는 해상도와 생리적으로 관련 있는 환경에서 밝혀낸 그녀의 FIB CryoET 연구에 깊은 인상을 받았습니다

시상식은 2025년 7월 3일 독일 하이델베르크에 위치한 유럽 분자생물학 연구소(EMBL)의 고급 교육 센터에서 열렸습니다.

지원 방식, 선정 기준, 에펜도르프 젊은 유럽 연구자상 역대 수상자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www.eppendorf.com/award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995년에 제정된 에펜도르프 젊은 유럽 연구자상은 에펜도르프 SE가 생의학 연구 분야의 뛰어난 업적을 기리고 35세 이하의 유럽 젊은 과학자를 지원하는 상입니다. 에펜도르프상은 과학 저널 Nature와 협력하여 수여됩니다. 수상자는 로라 마체스키(영국 캠브리지 대학교), 사다프 파루키(영국 캠브리지 웰컴-MRC 대사과학연구소), 매들린 랭카스터(영국 캠브리지 MRC 분자생물학 연구소), 벤 레너((영국 캠브리지 웰컴 생어 연구소)로 구성된 독립 위원회에서 선정합니다; 유전체 조절 PRBB 센터, 바르셀로나, 스페), 스테판 룬저(독일 도르트문트 막스플랑크 분자 생리학 연구소), 마이클 식스트(오스트리아 과학 기술 연구소 ISTA, 오스트리아 클로스터네부르크).

더 많은 뉴스

에펜도르프는 튜브 내 액체 취급 공정의 자동화를 위해 특별히 개발된 세 가지 새로운 epMotion® 4채널 디스펜싱 툴을 출시하여 자동 액체...

에펜도르프와 사이언스 저널은 현재 2025년 에펜도르프 & 사이언스 신경생물학상 지원서를 접수하고 있습니다. 매년 미화 25,000달러의 상금이 수여되...

바이오 에어로졸은 어떤 실험실에서도 환영받지 못합니다. 박테리아, 세포 조각, 곰팡이 포자 또는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미생물 대사의 부산물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에펜도르프 SE와 DataHow AG, 바이오 프로세스 데이터 처리 고도화를 위한 전략적 협력 발표



선도적인 생명과학 기업인 Eppen...

간편한 제품 선택을 위한 새로운 웹 도구

 

실험실 제품의 온라인 구매가 증가하고 있지만 전문가의 조언이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에...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박사후 연구원인 미국 과학자 로라 시홀저(Laura Seeholzer) 박사가 외부 위협에 대응하는 기도 신경내분비 세포의 역할을 규명한...